XECon 2016 후기
XECon 2016에 다녀와서 메모한 것들을 정리해 본다.
webpack 실무
레진 개발자.
웹팩 - 여러리소스 번들링
로더 - 파일을 핸들링 -리소스파일 변환 - babel loader, css loader 플러그인 - 청크를 핸들링
웹팩을 선택한 이유
- ES2015(ES6)를 사용하기 위해
 
후보
- 브라우저리파이
 - 시스템 JS
 - 웹팩
 - 롤업
 
적용법
- yarn
 - babel
 - multiple
 - common module
 - html plugin
 - webpack dev server
 
프론트엔드 스택변화 : JQuery, Backbone, ReactJS
텀블벅 개발자.
JQuery - 복잡한 클라에 대응
SPA - 모든걸 넘길테니 조립하세요.
여태껏 대세 - BackboneJS + JQuery
BackboneJS
- Model - data
 - Collection - model의 집합
 - Event - user가 만드는
 - View
 - Router
 
ReactJS
- View만 담당 - 백본은 위와 같이 많은 반면.
 - 상태에 따른 View 관리만 신경쓰면 됩.
 - 모든걸 컴포넌트로
 - 단방향 데이터
 - 서버사이드 렌더링 - 확장가능
 
결론
- 편리하면 씁니다.
 - 커지는 사용자 요구
 
이후는?
- 프로그레시브 웹 앱
- 네이티브앱 유사
 - 홈스크린 설치
 - 오프라인 기능구현
 - 푸쉬알림가능
 
 - 함수형 프로그래밍 인기
- 상속보단 조립
 - 불변성 (부작용 없앰)
 
 - 웹 컴포넌트
- 커스텀 엘리멘트
 - HTML imports
 - Templates
 - Shadow DOM
 
 
2023년 새해에는 성장하고 함께하고 싶다면?
Pre A 단계 이상의 스타트업 C 레벨들이 모여서 커뮤니티를 만들었습니다. 같이 스터디하고 친해질 일잘러를 찾습니다. 
  
 
